개봉 : 2009년 7월 22일
감독 : 윤제균
출연 : 하지원(강연희) , 설경구(최만식) , 이민기(최형식) , 엄정화(이유진) , 박중훈(김휘) , 강예원(김희미) ,
김유정(지민) , 김인권(오동춘)
해운대 : 쓰나미가 몰려온다
쓰나미조차 휩쓸지 못한 이들의 이야기. 2004년 역사상 유례없는 사상자로 세계를 충격에 빠뜨린 인도네시아 쓰나미를 생각나게 한다. 당시 인도양 심해 어선을 타고 나간 해운대 출신이 만식이 쓰나미에 휩쓸려 한순간의 실수로 믿고 의지하던 연희의 아버지를 잃게 됐다. 그 사고는 그가 연희를 좋아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감정을 숨길 수밖에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만식은 오랫동안 간직해 온 마음을 전하기로 결심하고 연희를 위한 멋진 프러포즈를 준비한다. 한편, 국제 해양 연구소의 지질학자인 김휘 박사는 대마도와 해운대를 둘러싼 동해의 상황이 5년 전에 발생한 인도네시아 쓰나미와 비슷하다는 것을 발견한다. 그는 한국도 쓰나미에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여러 번 강조하지만, 그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한국 방재청은 지리학적으로, 쓰나미가 한반도를 덮칠 가능성은 없다고 단언한다. 그 순간에도 바다의 상황은 시시각각 변하는데, 마침내 김휘 박사의 주장대로 일본 쓰시마 섬이 침몰하면서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한다. 수백만의 부산 시민들이 여름 더위를 식히며 평화로운 나날을 보내고 있고, 100m 높이의 슈퍼 쓰나미는 서로의 마음을 확인한 만식과 연희를 향해 시속 800km의 속도로 돌진하고 있다. 가장 소중한 것을 지켜야 한다!
해운대 줄거리
2004년 인도네시아 쓰나미로 인해, 인도양 심해 어선을 타고 나간 만식. 쓰나미로 연희의 아버지가 죽게 되고, 만식에게 딸인 연희를 부탁하게 된다. 세월이 지난 2009년, 연희는 횟집을 운영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만식은 연희를 옆에서 지켜주고 있었다. 만식의 작은 아버지는 상가 개발을 진행하여 상인들에게 미움을 받고 있었다. 한편, 지질학자였던 김휘는 쓰나미의 가능성을 발견한다. 그 시각 해운대에 피서객들이 잔뜩 모여있었다. 친구들과 놀러 왔던 희미는 부잣집 아들에 속아 보트를 타게 된다. 이때 바다에 빠져 수상구조대인 형식에게 구조된다. 희미는 이 순간에 형식을 좋아하게 된다. 희미는 형식을 유혹하려 한다. 한편, 연희의 가게에 희미를 유혹하려던 건달들이 와서 난동을 부린다. 형식이 와서 건달들을 처리하고, 이 일로 인해 미아보호소로 가게 된다. 미아보호소에서 형식은 지민을 만나게 된다. 그 시각 부산의 국제행사가 있었는데, 유진은 그 행사의 진행을 맡으러 왔다. 그로 인해 지민을 돌보지 못했다. 그 아버지 김휘는 대마도 진앙지가 계속 변하고 있다고 보고하지만, 윗사람들은 믿지 않는다. 시간이 흘러 결국 해운대 바다에 대형 쓰나미가 몰려옵니다. 이 쓰나미 속에서 과연 생존할 수 있을 것인가?
해운대 수상 내역
* 2009년 디렉터스 컷 어워즈 : 올해의 제작자 상 - 윤제균
* 2009년 청룡영화상 : 한국영화 최다 관객상 - 윤제균
* 2009년 청룡영화상 : 기술상 - 한스 울릭, 장성호, 김희동
* 2009년 대종상 영화제 : 기획상 - 윤제균
* 2009년 한국 영화 평론가 협회상 : 촬영상 - 김영호
* 2009년 부일 영화상 : 최우수 감독상 - 윤제균
* 2009년 부일 영화상 : 남우 조연상 - 김인권
* 2009년 부일 영화상 : 각본상 - 김휘, 윤제균
* 2010년 백상 예술 대상 : 영화 대상 - 윤제균
* 2010년 백상 예술 대상 : 영화 남자 신인 연기상 - 이민기
* 2010년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 최고의 감독상 - 윤제균
해운대 리뷰
이 영화는 2004년 인도네시아의 대형 쓰나미를 참고했다. 쓰나미가 몰려와 재난이 일어난 상황과 그곳에서 생존해 나가는 장면들이 나온다. 실제로 일어났었던 일이기도 하고, 한국에도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 놀랍기도 하고, 무섭기도 했다. 쓰나미에 휩쓸려 버린 사람들, 그것을 보며 정말 안타까웠다. 만약 내 가족에게 저런 일이 생긴다면? 얼마나 끔찍할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는 진짜가 아니지만, 실제로 일어날 수도 있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어, 자연재해가 정말 무섭다는 것을 한 번 더 느끼게 됐다. 자연재해는 인간의 힘으로 막을 수가 없다. 정말로 저런 일이 생긴다면 끔찍할 거 같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녀와 야수 : 프랑스 동화 이야기 (0) | 2022.07.10 |
---|---|
국가대표 : 오합지졸들의 반란 (0) | 2022.07.08 |
태극기 휘날리며 : 분단의 아픔 (0) | 2022.07.04 |
택시 운전사 (0) | 2022.07.02 |
마스크 : 마법의 가면 (0) | 2022.06.30 |
댓글